**서론**
이미지가 컴퓨터에 저장될 때에도 디지털 데이터화 되어 저장된다.
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그림을 구성하는 한 점(pixel, 픽셀)의 색상을
빨강(r), 초록(g), 파랑(b)의 3가지의 빛의 세기 값으로 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인데,
예를 들어 r, g, b 각 색에 대해서 8비트(0~255, 256가지 가능)씩을 사용한다고 하면,
한 점의 색상은 3가지 r, g, b의 8비트+8비트+8비트로 총 24비트로 표현해서
총 2^24 가지의 서로 다른 빛의 색깔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.
그렇게 저장하는 점을 모아 하나의 큰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게 되는데,
1024 * 768 사이즈에 각 점에 대해 24비트로 저장하면 그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
저장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.
이미지의 가로 해상도 w, 세로 해상도 h, 한 픽셀을 저장하기 위한 비트 b 가 주어질 때, 압축하지 않고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저장 용량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자.
**문제의 핵심 포인트**
실제로 일반적인 1024 * 768 사이즈(해상도)의 각점에 대해
24비트(rgb 각각 8비트씩 3개)로 저장하려면 1024 * 768 * 24 bit의 저장 용량이 필요하다.
이렇게 이미지의 원래(raw)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하는 대표적인 이미지 파일이 *.bmp 파일이며, 비트로 그림을 구성한다고 하여 비트맵 방식 또는 래스터 방식이라고 한다.
**틈새 자료구조**
8 bit(비트) = 1byte(바이트)
1024 Byte(2^10 byte) = 1KB(킬로 바이트)
1024 KB(2^10 KB) = 1MB(메가 바이트)
1024 MB(2^10 MB) = 1GB(기가 바이트)
1024 GB(2^10 GB) = 1TB(테라 바이트)
입력
w, h, b 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 단, w, h는 모두 정수이고 1~1024 이다. b는 40이하의 4의 배수이다.
1024 768 24
출력
필요한 저장 공간을 MB 단위로 바꾸어 출력한다. 소수점 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해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 뒤 MB를 출력한다.
2.25 MB
<풀이>
더보기
내가 쓴 풀이
w, h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result = (w*h*b)/(8*1024**2)
print(round(result, 2), 'MB')
바로 앞문제랑 같은 유형이네. 이번에는 bit에서 mb로 변환하는 계산식 보지도 않았고, 한 번에 적었다. 히히
강의 풀이
w, h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result = (w*h*b) / (8 * 1024**2)
print( round(result, 2), 'MB' )
<풀이 비교>
ㅋㅋㅋㅋㅋ 이번에는 완전 똑같이 풀었다. 이제 bit를 mb로 변환하는 문제는 문제없어~🤭
'Python > CodeU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드업 기초 100제 88번 - 3의 배수는 통과? (0) | 2021.11.22 |
---|---|
코드업 기초 100제 87번 - 여기까지! 이제 그만~ (0) | 2021.11.22 |
코드업 기초 100제 85번 - 소리 파일 저장용량 계산하기 (0) | 2021.11.22 |
코드업 기초 100제 84번 - 빛 섞어 색 만들기 (0) | 2021.11.22 |
코드업 기초 100제 83번 - 3 6 9 게임의 왕이 되자 (0) | 2021.11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