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ami
삶이 온통 사람의 길이니
Lami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65)
    • Elice (1)
      • 회고록 (1)
    • Git (0)
    • HTML ▪ CSS (4)
    • JavaScript (7)
      • BOJ (2)
      • Programmers (0)
      • Study Note (5)
    • TypeScript (0)
    • React (21)
      • Lecture (19)
      • Study Note (2)
    • Python (44)
      • CodeUp (38)
      • Programmers (0)
      • Study Note (6)
    • Modern Agile (80)
      • Tech Talk (7)
      • TIL (73)
    • 문제해결 (1)
    • 회고록 (5)
    • 도란도란 (2)

블로그 메뉴

  • Github

공지사항

  • 👋 안녕하세요!

인기 글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Lami

삶이 온통 사람의 길이니

코드업 기초 100제 98번 - 설탕과자 뽑기
Python/CodeUp

코드업 기초 100제 98번 - 설탕과자 뽑기

2021. 11. 28. 17:10
**서론**
부모님과 함께 유원지에 놀러간 영일이는
설탕과자(설탕을 녹여 물고기 등의 모양을 만든 것) 뽑기를 보게 되었다.

길이가 다른 몇 개의 막대를 바둑판과 같은 격자판에 놓는데,
막대에 있는 설탕과자 이름 아래에 있는 번호를 뽑으면 설탕과자를 가져가는 게임이었다.  
(잉어, 붕어, 용 등 여러 가지가 적혀있다.)

격자판의 세로(h), 가로(w), 막대의 개수(n), 각 막대의 길이(l),
막대를 놓는 방향(d:가로는 0, 세로는 1)과
막대를 놓는 막대의 가장 왼쪽 또는 위쪽의 위치(x, y)가 주어질 때,
격자판을 채운 막대의 모양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.

입력
첫 줄에 격자판의 세로(h), 가로(w) 가 공백을 두고 입력되고,
두 번째 줄에 놓을 수 있는 막대의 개수(n)
세 번째 줄부터 각 막대의 길이(l), 방향(d), 좌표(x, y)가 입력된다.

[입력값의 정의역]
1 <= w, h <= 100
1 <= n <= 10
d = 0 or 1
1 <= x <= 100-h
1 <= y <= 100-w

5 5
3
2 0 1 1
3 1 2 3
4 1 2 5

출력
모든 막대를 놓은 격자판의 상태를 출력한다.
막대에 의해 가려진 경우 1, 아닌 경우 0으로 출력한다.
단, 각 숫자는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.

1 1 0 0 0
0 0 1 0 1
0 0 1 0 1
0 0 1 0 1
0 0 0 0 1

 

<풀이>

더보기

내가 쓴 풀이

import numpy as np
h, w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an = np.zeros((h,w),dtype=int)
n = int(input())
for i in range(n) :
    l, d, x, y = map(int, input().split())
    x, y = x-1, y-1
    if d == 1:
        for j in range(l) :
            pan[x+j][y] = 1
    if d == 0:
        for k in range(l) :
            pan[x][y-k] = 1

for p in pan :
    print(*p)
    
# 입력
# 5 5
# 3
# 2 0 1 1
# 3 1 2 3
# 4 1 2 5

# 출력
# 1 0 0 0 1
# 0 0 1 0 1
# 0 0 1 0 1
# 0 0 1 0 1
# 0 0 0 0 1

막대를 가로로 넣을 때 결과가 이상하게 나온다,,
뭐가 문제인걸까🤔

 

강의 풀이

h, w = map(int, input().split())
shape = [[0 for _ in range(w)] for _ in range(h)]
n = int(input())

for _ in range(n) :
    l, d, x, y = map(int, input().split())
    x, y = x-1, y-1
    
    if d == 0 :
        for i in range(l) :
            shape[x][y+i] = 1
    else :
        for i in range(l) :
            shape[x+i][y] = 1

for s in shape :
    print(*s)
  
  
# 입력   
# 5 5
# 3
# 2 0 1 1
# 3 1 2 3
# 4 1 2 5

# 출력
# 1 1 0 0 0
# 0 0 1 0 1
# 0 0 1 0 1
# 0 0 1 0 1
# 0 0 0 0 1

 

<풀이 비교>

와.... 로직이 거의 비슷했는데 나는 d == 0일때 y에서 반복할 때마다 뺐고, 강의에서는 반복할 때마다 더했다.

이 차이였다....

왜 뺐던 거지? 알 수 없다,,;;

'Python > CodeU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list comprehension을 이용해 짝수 합 구하기  (0) 2022.06.21
코드업 기초 100제 99번 - 성실한 개미  (0) 2021.11.28
코드업 기초 100제 97번 - 바둑판에 십자 뒤집기  (0) 2021.11.28
코드업 기초 100제 96번 - 바둑판에 흰 돌 놓기  (0) 2021.11.28
코드업 기초 100제 우리밋의 보너스 문제 - 내 미래  (0) 2021.11.28
    'Python/CodeU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list comprehension을 이용해 짝수 합 구하기
    • 코드업 기초 100제 99번 - 성실한 개미
    • 코드업 기초 100제 97번 - 바둑판에 십자 뒤집기
    • 코드업 기초 100제 96번 - 바둑판에 흰 돌 놓기
    Lami
    Lami
    성장하는 즐거움을 알아가는 중입니다🌱

    티스토리툴바